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단상/🔵오만가지

내 생각을 의심해봤다 - 관성에 틈을 내려는 작고 불편한 시도들

by senpebble 2025. 5. 29.

 

편견은 생각의 지름길이자, 진실로 가는 가장 먼 길이다. 

 

어느 날, 문득 느꼈다. 나는 내 생각을 너무 믿고 있다는 사실을.

누군가를 단 한 번의 실수로 낙인찍고, 어떤 뉴스 하나에 내 입장을 고정하고, 누군가의 성격을 처음 인상으로 규정짓고, 정작 그 사람이 변해도 나는 보지 않는다.

이게 과연 나다운 판단일까, 아니면 그냥 익숙한 반응일까?

 

 

내가 믿는 내가 진짜 나일까? 거울 속 나도 가끔 낯설다.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순간을 자동으로 살아간다.


출근길,뉴스의 헤드라인,

누군가에 대한 첫인상, 정치적 입장,

브랜드에 대한 신뢰, 심지어 사랑하는 방식까지.

 

그 모든 판단이 ‘나의 선택’이라 믿지만,
그중 얼마나 많은 것이 단지 과거의 반사 신경일 뿐일까?

 

 

 

나는 어떤 사람의 실수를 알게 되면,
그 사람 전체를 하나의 프레임으로 묶는다.


“그는 그런 사람이야.”
이 말은 얼마나 편한가. 더 이상 생각하지 않아도 되니까.

 

 


문제는 그때부터다.
그 사람이 변해도 나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내 안의 편견이 너무 정교하게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뇌의 관성이다.
자기 생각에 도취된 상태에서, 변화란 불편하기만 하다.


사람들은 흔히 나이가 들면 뇌의 가소성이 줄어든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가소성은 단지 나이의 문제가 아니다.
그보다는 익숙함에 안주해온 시간의 누적량,
그리고 생각을 스스로 갱신해온 훈련의 유무에 가깝다.

 

나이는 태도가 아니라 선택의 누적이다

 

 

변화를 받아들이는 뇌는 언제나 젊다.

 

 

젊다고 해서 뇌가 말랑말랑한 것은 아니다.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지 않고,
남의 말을 곧이곧대로 따르며,
한 가지 프레임만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이라면,
그가 20대든 60대든 이미 ‘관성적인 사람’이다.

 

 

나는 그런 사람을 나이와 상관없이 ‘꼰대’라 부른다.
꼰대는 나이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다.

 

 

그래서 나는 오늘도 작은 불편을 받아들이는 연습을 한다.


뉴스를 읽다가, 나와 생각이 다른 시각을 의도적으로 탐색해보고,
내가 지지하던 사람의 실수도 놓치지 않고,
어떤 오해가 밝혀졌다면 내 판단의 오류도 점검한다.

 

 

익숙한 생각을 한 걸음 뒤에서 바라보는 일.
그것이 내가 스스로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습관은 뇌의 자동응답기다. 끊기 전까진 그게 질문인 줄도 모른다

 


 

“익숙함은 편안함이지만, 때로는 나를 가두는 벽이 된다.”


이 문장을 되새기며,
나는 오늘도 새로운 문 하나를 연다.


나이와 상관없이,
내 뇌가 생각을 멈추지 않도록.

 

 

깨어 있기 위해,


나는 불편을 받아들이는 사람이고 싶다.

 


 

익숙한 실타래를 푸는 데는 용기보다 리듬이 필요하다.

 

 

내가 지지하는 사람의 잘못조차 외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728x90